Quantcast
Channel: 악식가의 미식일기/ 맛칼럼니스트 황교익 잔반 에세이
Browsing all 875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

과메기와 미가키 니싱

포항 과메기 취재는 1990년대 중반부터였다. 거의 해마다 포항을 갔었다. 그리고 참 많은 포항 토박이들을 만났었다. 그때마다 나는 이런 질문을 하였다. "옛날에도 과메기를 과메기라고 불렀나요?" "혹시 관목이라고 부른 적이 있나요?" 돌아오는 답은 늘 같았다. "과메기가 과메기였지. 관목이라는 말은 안 썼지." 조선의 문헌에 나오는 貫目(관목)이 과메기라는...

View Article


옥수수 깡치 불에 구운 반건조 송어 구이

무지개송어는 북미 대륙에서 도입을 한 양식 어종이다. 강원도에 양식장이 많다. 보통은 회로 먹는다. 굽거가 튀겨서 먹기도 한다. 겨울에 먹는 송어회 외에는 딱히 맛있게 먹은 일이 없었다. 평창의 어느 마을에서 송어구이를 먹은 적이 있다. 반건조한 송어였다. 옥수수 깡치를 땔감으로 한 화롯불에 구웠다. 갓 잡아 구운 송어와 달리 살에 탄력이 있었다. 비린내...

View Article


화해치유재단이 해체된다

박근혜가 아베와 합의하여 출범한 화해치유재단이 해산하게 된다. 늦었지만 다행한 일이다. 일제강점기 희생자에 대한 진정한 사과와 반성도 없는 상태에서 돈으로 대충 넘기려고 한 한일 양쪽의 세력이 누구인가 잘 보아야 한다. 그들이 역사 왜곡의 주범이며 한일 관계를 끝없이 뒤트는 자들이다. 그들의 목적은 딱 하나이다. 극우 보수 세력을 준동시켜 권력을 쥐는...

View Article

옛날 자장면과 떡볶이

1997년 IMF 외환 위기 때였습니다. 구조 조정으로 직장을 잃고 파산을 하고.. 나라 경제가 엉망이 되었습니다. 일자리를 잃고 돈도 없는 가장들은 집에 들어가는 것이 두려웠습니다. 당시 공원이며 다방에는 일 없이 시간을 보내는 중년 남자들이 수두룩했습니다. 그때에 크게 유행을 한 음식이 있습니다. '옛날 자장면'입니다. 멀건 자장 소스 위에 누렇고 굵은...

View Article

태극기김치와 황제김치

몇 년 전에 김장 축제에서 본 김치입니다.김치로 애국을 할 수 있다는 것을 김치 그 자체로 보여주고 있습니다.먹을 수 있는 것인지, 어떻게 먹는지 물어보려다가 애국심이 부족한 사람으로 보일까 싶어 사진만 찍고 물러났습니다.

View Article


편집

인간의 기억은 편집된다. 개체 생존 전략이다. 집단의 기억도 편집된다. 집단 유지 전략이다. 개인의 편집된 기억을 추억이라 하고, 집단의 편집된 기억을 역사라고 한다. 추억과 역사의 편집은, 과거에 있었던 사실에 대한 설명이라기보다 현재의 욕구가 실현될 수 있게끔 과거의 일에 스토리를 붙이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View Article

공영방송의 힘, 저널리즘 토크쇼 J

KBS MBC를 되살려야 한다고 했을 때 “굳이 그럴 필요가 있는가” 하고 반문하는 분들이 있었습니다. 당시 제 역할을 충실히 하는 몇몇 언론인이 존재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그분들이 물러나면.. 상업방송에 제대로 된 언론으로서의 역할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입니다. 올곧은 공영방송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오늘 KBS 저널리즘J를 보며 ‘돌아온’ 공영방송의...

View Article

JTBC 중앙일보 대표이사 홍정도의 언론관

한국의 다수 언론사는 경영주의 가치관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경영주의 가치관이 그 언론사의 가치관이라 볼 수 있습니다. 위의 영상은 JTBC·중앙일보 대표이사 홍정도가 지난해 창사 50주년 기념식에서 한 발언입니다. 확인되지 않은 사실도 보도 가치가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의 언론관에 대해 비판할 생각은 없습니다. JTBC와 중앙일보를 볼...

View Article


국민을 조작 대상으로 여겼던 이명박이 그리운가

황교익TV를 개국하고 첫 방송이 '짠맛'이었다. 그 긴 이야기 중에 또 일부만 나갔다. 30여 분 방송이니 그럴 수밖에 없다. 핵심의 내용은 대충 들어갔다. 반응을 보니 다양하다. 몇몇 가지만 대응하겠다. 특히 내 말에 어떻게든 악의적으로 흠집을 내려는 이들에 대한 대응이다. 그러니 말이 다소 거칠다는 점을 양해해주시기 바란다. 첫째, 방송 내용에 이거...

View Article


블로그를 개편합니다

제 블로그 운영 원칙을 여러 차례 밝힌 바가 있습니다. 한 달여 전에 썼던 글을 퍼옵니다. ---이 블로그를 운영한 지가 오래입니다. 운영원칙이 있습니다. 욕설하는 사람, 비난하는 사람, 같은 말로 도배를 하는 사람, 댓글로 싸우는 사람, 예의가 없는 사람은 차단합니다. 의견이 다르다고 차단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요즘은 차단의 범위가 조금 넓어졌습니다. 내가...

View Article

백종원 방송과 백종원 팬덤 현상을 비평하지 말라는 것인가

나는 맛칼럼니스트이다. 흔히 음식문화평론가라고도 부른다. 음식과 관련되는 것이면 그 어떤 것이든 글과 말로 비평을 하는 직업이다. 백종원 방송과 백종원 팬덤 현상은 내 비평의 소재이다. 내 직업에 따라 백종원 방송과 백종원 팬덤 현상을 분석하여 글을 쓰고 말을 할 뿐이다. 인터넷 용어인 '저격' 같은 말은 맞지가 않다. 나는 누구든 명예훼손을 할 생각이...

View Article

우상과 혐오

질문이 좋았고, 그에 충실히 답하였다.http://www.joynews24.com/view/1146457

View Article

우상과 혐오 - 백종원 골목식당 국수집 사례

방송은 백종원의 우상화를 위해 그가 척척박사이고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듯이 포장하였다. 여기에 더해 그가 일반 출연자를 함부로 대하여도 되는 듯한 편집을 하였다. 시청자는 우상 백종원과 자신을 동일시하였고, 시청자 자신이 백종원처럼 일반 출연자에게 모욕을 주어도 된다고 여기게 되었다. 아래 영상의 댓글을 보시라.충무로 국수집 아주머니는 백종원의...

View Article


백종원의 골목식당과 골목 안의 우리들

페친이 지난 5월에 쓴 글이다. 어제 댓글 링크로 달아주어 보았다. '백종원의 골목식당'의 문제점을 정확히 지적하고 있다. 나는 이 방송을 깊이 있게 본 적이 없었다. 막걸리 조작 방송 이후에야 찬찬히 보았다. 보는 동안 내내 불편했다. 이 분의 생각과 똑같았기 때문이다. '수평폭력'이란 단어가 등장하는데, '수평혐오'로 읽어도 된다. 혐오를 부추기는 방송이다.

View Article

방송 음식과 소확행

유튜브에 올려진 백종원의 골목식당 후기들을 보고 있다. 돈까스 하나 먹으려고 새벽 4시에 줄을 선다. 오픈 시간은 12시. 장장 8시간을 기다려 돈까스를 먹는다. 다들 만족스럽다는 평가이다. 드물게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후기가 있는데, 여기에는 ‘싫어요’가 잔뜩 붙었다. 소확행이 유행어이다. 작지만 확실한 행복. 텔레비전에서 누군가 맛있다고 평가한 식당에 가서...

View Article


떡볶이 세계화는 국민 우롱 정책이었다

떡볶이 세계화 정책은 애초에 떡볶이 세계화에 목적이 있지 않았다. 세계화할 수도 없고, 세계화해봤자 경제적 이득이 없다는 것을 그 당시에도 알 만한 사람은 다 알았다. 당시 정책 실행자의 입에서도 그 말들이 나왔다. 그럼에도 다들 함구하였다. 관변단체와 언론, 업계에 돈이 도는 일이었기 때문이다.떡볶이 세계화 정책을 밀어붙인 정부의 목적은 딱 하나였다....

View Article

떡볶이의 쌀 원산지를 우리는 모르고 먹는다

"떡볶이는 최근 정부의 세계화 정책에 편승해 제품 출시가 봇물을 이루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프랜차이즈도 10여개나 생겨났다. 이런 음식의 원료가 대부분 수입쌀임을 밝히지 않는 것은 소비자를 기만하는 일이다. 이는 정부의 떡볶이 명품화·세계화 전략을 웃음거리로 만드는 것이기도 하다."떡볶이 세계화 원년인 2009년의 농민신문 기사이다. 현재에도 음식점에서...

View Article


'골목식당' 돈까스를 먹기 위해 새벽 3시에 줄을 서는 일과 관련하여

“수요미식회는 맛집 선정 방송이 아닙니다. 식당은 음식 이야기를 풍성하게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것입니다.” 수요미식회 초창기에 진행자와 내가 이 말을 수시로 하였다. 녹화 끝에 진행자가 “어디가 맛있었어요?” 하고 물으면 “우리 동네 식당. 슬리퍼 끌고 갈 수 있는 동네 식당이 제일 맛있지요”라는 말도 자주 하였었다. 그러나 소용이 없었다. 시청자는...

View Article

외식업계의 비극

식당은 많고 그 식당들을 다 살릴 수 없다는 것이 비극이라 하였더니 그 비극이라는 말을 엉뚱한 곳에다 붙여 우리 앞에 드러내어야 할 비극의 실체를 묻어버렸다. 이렇게 된 김에 한국 외식업계의 비극을 조금 소상하게 말하겠다.1. 식당이 인구수에 비해 너무 많아 포화 상태라고 하는데도 식당 개업은 줄지 않고 있다. 프랜차이즈 업체가 이를 부추기고 있다. 한국...

View Article

백종원-황교익 논쟁에 참여하신 이태호 교수에게

https://news.joins.com/article/23235570(중앙일보 이태호 교수의 글이다.)백종원-황교익 논쟁에 참여해준 이태호 교수에게 감사함을 전한다. 나도 차분히 토론하고 싶다. 나는 과학자가 아니나 과학자와 토론하는 것을 즐긴다. 이태호 교수의 글에 의견을 낸다.<막걸리 방송 조작 사건>이태호 교수는 막걸리 방송을 언급하면서...

View Article
Browsing all 875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


<script src="https://jsc.adskeeper.com/r/s/rssing.com.1596347.js" async> </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