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악식가의 미식일기/ 맛칼럼니스트 황교익 잔반 에세이
Browsing all 875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

김지형 경희사이버대 교수가 국립국어원 위에 있는 사람인가

악플러들이 악의적으로 내 말에 흠집을 내기 위해 "한국어는 우랄알타이어가 아닌데 황교익이 우랄알타이어라고 한다"는 말을 만들어 돌렸다. 내 논지에서 중요한 것도 아니어서 그냥 두었다. 그런데 학자라는 자가 이를 확정해버렸다. 김지형 경희사이버대 한국어문화학과 교수이다. 그는 10월 13일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런 말을 하였다. [국어학자들은 황씨가...

View Article


현진건의 불고깃덩이는 불고기와 관련이 없다

불고기가 등장하는 최초의 문헌은 현진건의 소설 <타락자>이다. 1922년 발표되었다. 정확히는 불고기가 아니고 불고깃덩이이다. "궐자의 얼굴은 마치 이글이글 타는 숯불 위에 놓여 있는 불고깃덩이 같았다. 모르면 모르되 나의 얼굴빛도 그러하였으리라." <타락자>의 주인공은 일본에서 공부를 하다가 중단을 하고 경성에서 산다. 꺾인 꿈으로...

View Article


한때 불고기는 바비큐였다는 추가 증거

이전 포스트에서 현진건의 <타락자>에 나오는 불고깃덩이가 바비큐라고 했다. 그럴 리가 없다는 댓글이 달리는데, 이해를 한다. 그런 식의 해석을 한 사람이 이전에 아무도 없었기 때문이다. 불고기라는 단어만 쫓았지 그 불고기가 이르는 음식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가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때 불고기라고 불렀던 음식이 바비큐이었음을 알 수 있는 자료를...

View Article

파쇼

"그래서, 선생님은 불고기는 한국 고유의 음식이라고 생각하시는 것인가요?" 국민일보와의 인터뷰 중에 기자가 내게 이 질문을 하였다. 이런 질문에는 내가 "그렇지요. 한국 고유의 음식이지요" 할 것이라고 짐작하였을 것이다. 그래야 나의 애국심이 확인되고 악플러들의 공격이 사그라들 수도 있지 않겠느냐는 전략적 판단을 할 것이라고 기대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내...

View Article

불고기 논쟁과 관련해서는 이 인터뷰부터 보세요

말이 뱅뱅 돕니다. 한 말을 또 하고 또 하고. 제가 한 말의 지점을 정확히 알고 댓글을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제가 인터뷰에서 이미 밝힌 내용을 또 다시 엉뚱한 방식으로 질문을 하면 차단하겠습니다. 토론이 진전이 안 됩니다.

View Article


불고기 어원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답변

불고기에 관해 어떤 말이 떠도는지 검색하다가 국립국어원에서 아래의 질문과 답변을 발견하고 크게 웃었다. 질문에서 내 주장을 크게 왜곡하여 적어놓고 있지만, 불고기라는 말이 일본어의 영향을 받았다는 내용만은 대충 맞다. 어떻든, 국립국어원은 이기문의 주장도 내 주장도 긍정하지 않고 있다. 당연한 답변이다. 국립국어원이라 하여도 똑 부러지는 답을 낼 수 있는...

View Article

당신들은 죽어서 지옥에 떨어질 것이다

"남도음식은 맛있다고 생각하니까 맛있다." 알쓸신잡에서 내가 한 말이다. 유시민 작가는 이렇게 말했다. "남도음식은 그냥 맛있어." 나의 이 말을 가지고 일부의 사람들이 "황교익은 남도음식이 맛없다고 했다"는 조작을 하여 돌렸다. 내가 경상도 출신이라 전라도를 혐오하고 그래서 저 말을 하였다고 조리돌림을 하고 있다. 말귀를 못 알아들을 수는 있다. 오해할...

View Article

과메기와 미가키 니싱

포항 과메기 취재는 1990년대 중반부터였다. 거의 해마다 포항을 갔었다. 그리고 참 많은 포항 토박이들을 만났었다. 그때마다 나는 이런 질문을 하였다. "옛날에도 과메기를 과메기라고 불렀나요?" "혹시 관목이라고 부른 적이 있나요?" 돌아오는 답은 늘 같았다. "과메기가 과메기였지. 관목이라는 말은 안 썼지." 조선의 문헌에 나오는 貫目(관목)이 과메기라는...

View Article


옥수수 깡치 불에 구운 반건조 송어 구이

무지개송어는 북미 대륙에서 도입을 한 양식 어종이다. 강원도에 양식장이 많다. 보통은 회로 먹는다. 굽거가 튀겨서 먹기도 한다. 겨울에 먹는 송어회 외에는 딱히 맛있게 먹은 일이 없었다. 평창의 어느 마을에서 송어구이를 먹은 적이 있다. 반건조한 송어였다. 옥수수 깡치를 땔감으로 한 화롯불에 구웠다. 갓 잡아 구운 송어와 달리 살에 탄력이 있었다. 비린내...

View Article


화해치유재단이 해체된다

박근혜가 아베와 합의하여 출범한 화해치유재단이 해산하게 된다. 늦었지만 다행한 일이다. 일제강점기 희생자에 대한 진정한 사과와 반성도 없는 상태에서 돈으로 대충 넘기려고 한 한일 양쪽의 세력이 누구인가 잘 보아야 한다. 그들이 역사 왜곡의 주범이며 한일 관계를 끝없이 뒤트는 자들이다. 그들의 목적은 딱 하나이다. 극우 보수 세력을 준동시켜 권력을 쥐는...

View Article

옛날 자장면과 떡볶이

1997년 IMF 외환 위기 때였습니다. 구조 조정으로 직장을 잃고 파산을 하고.. 나라 경제가 엉망이 되었습니다. 일자리를 잃고 돈도 없는 가장들은 집에 들어가는 것이 두려웠습니다. 당시 공원이며 다방에는 일 없이 시간을 보내는 중년 남자들이 수두룩했습니다. 그때에 크게 유행을 한 음식이 있습니다. '옛날 자장면'입니다. 멀건 자장 소스 위에 누렇고 굵은...

View Article

태극기김치와 황제김치

몇 년 전에 김장 축제에서 본 김치입니다. 김치로 애국을 할 수 있다는 것을 김치 그 자체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먹을 수 있는 것인지, 어떻게 먹는지 물어보려다가 애국심이 부족한 사람으로 보일까 싶어 사진만 찍고 물러났습니다.

View Article

편집

인간의 기억은 편집된다. 개체 생존 전략이다. 집단의 기억도 편집된다. 집단 유지 전략이다. 개인의 편집된 기억을 추억이라 하고, 집단의 편집된 기억을 역사라고 한다. 추억과 역사의 편집은, 과거에 있었던 사실에 대한 설명이라기보다 현재의 욕구가 실현될 수 있게끔 과거의 일에 스토리를 붙이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View Article


공영방송의 힘, 저널리즘 토크쇼 J

KBS MBC를 되살려야 한다고 했을 때 “굳이 그럴 필요가 있는가” 하고 반문하는 분들이 있었습니다. 당시 제 역할을 충실히 하는 몇몇 언론인이 존재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그분들이 물러나면.. 상업방송에 제대로 된 언론으로서의 역할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입니다. 올곧은 공영방송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오늘 KBS 저널리즘J를 보며 ‘돌아온’ 공영방송의...

View Article

JTBC 중앙일보 대표이사 홍정도의 언론관

한국의 다수 언론사는 경영주의 가치관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경영주의 가치관이 그 언론사의 가치관이라 볼 수 있습니다. 위의 영상은 JTBC·중앙일보 대표이사 홍정도가 지난해 창사 50주년 기념식에서 한 발언입니다. 확인되지 않은 사실도 보도 가치가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의 언론관에 대해 비판할 생각은 없습니다. JTBC와 중앙일보를 볼...

View Article


국민을 조작 대상으로 여겼던 이명박이 그리운가

황교익TV를 개국하고 첫 방송이 '짠맛'이었다. 그 긴 이야기 중에 또 일부만 나갔다. 30여 분 방송이니 그럴 수밖에 없다. 핵심의 내용은 대충 들어갔다. 반응을 보니 다양하다. 몇몇 가지만 대응하겠다. 특히 내 말에 어떻게든 악의적으로 흠집을 내려는 이들에 대한 대응이다. 그러니 말이 다소 거칠다는 점을 양해해주시기 바란다. 첫째, 방송 내용에 이거...

View Article

블로그를 개편합니다

제 블로그 운영 원칙을 여러 차례 밝힌 바가 있습니다. 한 달여 전에 썼던 글을 퍼옵니다. --- 이 블로그를 운영한 지가 오래입니다. 운영원칙이 있습니다. 욕설하는 사람, 비난하는 사람, 같은 말로 도배를 하는 사람, 댓글로 싸우는 사람, 예의가 없는 사람은 차단합니다. 의견이 다르다고 차단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요즘은 차단의 범위가 조금 넓어졌습니다....

View Article


백종원 방송과 백종원 팬덤 현상을 비평하지 말라는 것인가

나는 맛칼럼니스트이다. 흔히 음식문화평론가라고도 부른다. 음식과 관련되는 것이면 그 어떤 것이든 글과 말로 비평을 하는 직업이다. 백종원 방송과 백종원 팬덤 현상은 내 비평의 소재이다. 내 직업에 따라 백종원 방송과 백종원 팬덤 현상을 분석하여 글을 쓰고 말을 할 뿐이다. 인터넷 용어인 '저격' 같은 말은 맞지가 않다. 나는 누구든 명예훼손을 할 생각이...

View Article

우상과 혐오

질문이 좋았고, 그에 충실히 답하였다. http://www.joynews24.com/view/1146457

View Article

우상과 혐오 - 백종원 골목식당 국수집 사례

방송은 백종원의 우상화를 위해 그가 척척박사이고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듯이 포장하였다. 여기에 더해 그가 일반 출연자를 함부로 대하여도 되는 듯한 편집을 하였다. 시청자는 우상 백종원과 자신을 동일시하였고, 시청자 자신이 백종원처럼 일반 출연자에게 모욕을 주어도 된다고 여기게 되었다. 아래 영상의 댓글을 보시라. 충무로 국수집 아주머니는 백종원의...

View Article
Browsing all 875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